칠십 노인의 유언
옛날 어느 고을에
딸은 많은데 아들이 없던 70세 노인이
늘그막에 천금같은 옥동자를 한 명 낳았다.
하지만 재산이 무척 많은 노인은
자기가 죽은 후에 많은 사위들이 자신의 재산을 나눠 갖고
하나 뿐인 어린 아들에게 주지 않을까 걱정이었다.
그래서 노인은 어느 날 아들과 사위들을 불러
다같이 보는 앞에서 다음과 같은 유언장을 만들었다.
七十生子非吾子 (칠십생자비오자)
家産傳之婿他人勿犯 (가산전지서타인물범)
무슨 뜻일까요?
노인이 죽은 뒤 사위들은 노인의 재산을 몽땅 차지하고
아들에게는 조금도 주지 않았다.
억울한 아들은 장성하여 관가에 호소하였다.
사위들이 말하기를 유언장에
七十生子(칠십생자)하니 非吾子(비오자)라,
家産傳之婿(가산전지서)하니 他人勿犯(타인물범)이라.
하였으니 재산은 당연히 사위들 것으로 생각합니다.
사위들이 해석하건데
나이 70에 아들을 낳았으니, 내 자식이 아니로다.
집안 재산을 사위에게 전하니 다른 사람은 침범하지 말라.
원님 왈 “그게 옳단 말인가?”
사위 왈 “70세 노인이 아들을 낳을 수 있겠습니까?
분명 자기 자식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재산을
사위에게 준 것으로 압니다.
원님 왈 “아들은 의의가 없느냐?”
아들 왈 “저의 해석은 다릅니다.”
七十生子(칠십생자)라도 非吾子(비오자)리오?
家産傳之(가산전지)하니 婿他人勿犯(서타인물범)이니라.
나이 70세에 아들을 낳더라도 내 아들이 아니리오!
집안 재산을 그에게 전하니, 사위는 남이므로 침범하지말라.
원님 왈“과연 영리하군. 내 해석도 아들과 같도다.
재산은 모두 아들 것이로다.”라고 판결했다고 한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한문의 띄어 읽기와 토 달기,
어조사(之)의 해석 여하에 달려있다. 하지만 이야기의 본질은그것이 아닐 것이다.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생 난관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지혜를 가르쳐 주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사 같은 일이라도 어떻게 바라보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천지 차이임을 깨달게 하려는 교훈일 것이다.
유언장을 통한 죽은 자와 산 자의 의사소통...,
지혜로운 부모와 현명한 자식이기에 가능했지 않을까?
'韓英漢語表現'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티가 납니다 (0) | 2021.02.27 |
---|---|
도올 (0) | 2021.01.07 |
沉魚<西施>落雁<王昭君> 閉月<貂蟬>羞花<楊玉環> (0) | 2021.01.03 |
胡地無花草 (0) | 2021.01.03 |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0) | 2020.12.12 |